.
내과전문클리닉
Home   >   내과전문클리닉   >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소화기 질환 갑상선 질환 호흡기 질환 심장 질환 신장 질환(단백뇨, 혈뇨) 골다공증

THE SOK PYRONHAN

골다공증

홈페이지에 방문하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정상적인 뼈에 비해 ’구멍이 많이 난 뼈’를 말하며 폐경, 노화 등의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요통, 허리가 구부러지는 신체의 변형, 신장의 감소, 쇠약, 무기력 등에 시달리게 됩니다. 최근에는 골다공증을 편안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조기진단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결과에 따라 치료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골다공증 원인
성호르몬의 감소 조기폐경, 신경성 식욕부진, 심한 운동으로 월경이 없는 경우, 고환기능의 악화로 남성 호르몬이 감소된 경우
성호르몬의 감소
조기폐경, 신경성 식욕부진, 심한 운동으로 월경이 없는 경우, 고환기능의 악화로 남성 호르몬이 감소된 경우
나이 연령의 증가
나이
연령의 증가
유전적인 요소 어머니에게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이 있었던 경우의 여성
유전적인 요소
어머니에게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이 있었던 경우의 여성
생활습관 칼슘 섭취량이 적은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하는 경우
생활습관
칼슘 섭취량이 적은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하는 경우
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위장관의 수술을 받은 경우, 쿠싱증후군, 오랫동안 운동이 억제된 경우
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위장관의 수술을 받은 경우, 쿠싱증후군, 오랫동안 운동이 억제된 경우
장기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등을 복용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등을 복용하는 경우
체형과 체중 뼈가 가늘고 체중이 적은 경우
체형과 체중
뼈가 가늘고 체중이 적은 경우
골다공증 진단기준

/_files/5Rufna3eI.jpg
  • 1

    골다공증의 검사결과는 숫자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T-Score 라고 부릅니다.

  • 2

    정상치를 0으로 보았을 때, 검사수치가 양(+)으로 커질 경우 골밀도가 높은 것이며,

  • 3

    음(-)으로 커질 수록 골밀도가 낮다고 판단합니다.

  • 4

    수치에 따라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으로 나누며 보통 골다공증은 -2.5이하를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예방법

1. 충분한 칼슘을 섭취해야 칼슘 부족에 의한 골다공증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햇빛을 쬐면 비타민 D가 생산되나 필요에 따라 비타민 D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3. 빨리걷기, 조깅, 테니스 등 근육과 뼈에 힘을 주는 운동(체중부하운동)이 좋습니다.
4. 호르몬 사용이 가능한 폐경 후 여성에게 골다공증 예방을 위하여 권장됩니다.
5. 금연과 금주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